모교소식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겸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 [중앙포토]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겸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 [중앙포토]

 

“노벨상 시즌 때마다 괴로웠어요. 한국인 과학 노벨상 수상자가 없으니까요. 하지만 노벨상 후보군에 들었다니 마음이 한결 가볍습니다.”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 유력 후보로 꼽히는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겸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의 말이다.

 

매년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하는 정보분석업체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는 논문 인용 횟수 등을 근거로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 유력 후보로 현 교수를 점찍었다.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합성하는 방법을 처음 개발하고, 대량 합성도 가능하게 해 QLED TV의 기술적 토대를 마련한 공로다.

 

이 연구 결과는 2001년 미국 화학회지(JACS)와 2004년 네이처 머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실렸다.

 

 

나노입자 균일합성법 처음 개발
오늘 발표 화학상 후보로 꼽혀
“한국 과학도 한강의 기적 불릴만
정부 지원하되 개입않기 유지를”

 

 

“올해 수상 기대 안 해, 후보군 포함도 영광”

노벨상 메달. [중앙포토]

노벨상 메달. [중앙포토]

 


현 교수는 6일 노벨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는 데 대해 “솔직히 올해 수상은 기대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통상적으로 클래리베이트에서 노벨상 수상 후보로 선정되면 보통 5~6년쯤 지나 상을 받곤 한다”면서 “1980년대 초에 양자점(quantum dot)을 발견한 루이스 브루스 컬럼비아대 교수나 알렉산더 이프로스 박사가 아직 노벨상을 못 받았는데 이분들이 먼저 받는다면 나도 받을 수 있지 않겠냐”며 웃었다. 
 


어린시절부터 과학자를 꿈꾸며 연구에 매진해온 그는 “연구자로서 노벨상 후보군에 들어섰다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영광”이라며 “지금까지 한국에선 최고과학기술인상, 호암상 등을 받았지만 이젠 세계 무대에서도 권위자로 인정받았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겸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 [중앙포토]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겸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 [중앙포토]

 

"獨·日보다 100년 늦었지만 큰 발전"  

 

노벨상 시즌마다 한국인 수상자는 없었다.

 

이에 현 교수는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가 유럽·일본에 비해 100년 정도 늦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를 많이 배출한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는 1917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도 1911년에 설립됐다”며 “한국 기초과학연구원은 만들어진 지 9년밖에 안 됐다.

 

그렇지만 벌써 나를 포함해 노벨상 유력 수상 후보가 3명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4년 유룡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 2018년엔 로드니 루오프 IBS 다차원탄소 재료 연구단장이 노벨상 수상 후보로 거론됐다.


 
그는 “‘스포츠선수들은 금메달을 잘 따오는데, 한국 과학자는 왜 노벨상을 못 받냐’는 소리도 들었다.

 

하지만 한국 과학은 단기간에 많이 발전한 만큼 과학계에선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릴 만 하다”고 했다.

 

현 교수는 “대학원생이던 87년도만 해도 한국인 교수 논문이 JACS에 실렸으면 신문 1면 감이었다”며 “지금은 내가 JACS의 에디터를 하고 있을 정도니 엄청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이젠 결코 다른 나라에 뒤처지지 않는다”고 했다.

 

현 교수는 2010년부터 JACS의 부편집인을 맡고 있다.


 

 

“국내 연구자의 자율성 보장이 중요”

현 교수는 한국과학 발전을 위해선 연구자들의 자율성 보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행 IBS는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를 롤모델 삼아 만든 기관인데, 연구자들이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보장해주고 있다”며 “정부에서 지원은 하되 연구에는 개입하지 않는 현행 시스템이 계속 유지된다면 앞으로 한국의 기초과학이 더욱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