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교소식

공대 교수가 쓴 면역항암제 이야기

면역항암제를 이해하려면 알아야 할 최소한의 것들

면역항암제를 이해하려면 알아야 할 최소한의 것들

우리나라 암환자가 5년 이상 살 상대생존율은 70.4%로 나타났다. 12년 전보다 1.3배 높아진 수치다. 생존율이 100%면 일반인과 같다는 뜻이다. 암은 머지않아 정복될 것이라는 기대가 날로 커지고 있다.
 
『면역항암제를 이해하려면 알아야 할 최소한의 것들』은 생명공학자나 의학자가 아닌 자칭 ‘공대 교수’가 쓴 암 정복 과정 소개서다. 지은이 도준상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18년 동안 면역학과 재료공학을 융합하는 연구를 해 오고 있다.
 
이 책은 면역항암제의 개발역사와 동향, 종양면역학 이론까지 거의 모든 것을 정리해 놨다. 획기적인 암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면역항암제의 기능 원리, 효능과 함께 그 한계, 향후의 과제를 일목요연하게 소개한다. 설명이 친절한 편이어서 전공자가 아닌 일반 독자라도 주의 깊게 읽는다면 암과 면역의 관계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특히 주변에 암 환자를 둔 독자들에겐 큰 힘이 될 수 있는 희망과 설득력을 담고 있다.
 
암은 유전자 변이 때문에 생기는 병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암 덩어리를 없애기 위한 외과적 수술이나 방사선치료가 주로 활용됐다. 빠르게 증식하는 암세포를 표적하는 독성 화학물질을 투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암세포만을 잡는다고 암이 없어지지 않는 것을 알게 됐다. 암 조직은 섬유아세포, 혈관내피세포, 다양한 면역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로 구성돼 있는데 이들은 종양미세환경을 형성한다. 이들은 암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혈관을 새로 만드는 등 암세포의 성장을 도우면서 항암제 효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명됐다.
 
그래서 종양미세환경으로 암 치료 관점이 확장됐다. 암을 직접 표적하지 않고 면역 기능을 강화해 간접적으로 암을 없애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게 됐다. 바로 면역항암 치료라는 개념이 등장한 것이다.

사람 몸 속의 면역세포인 T세포. 주변 세포의 도움을 받아 암 세포를 살해한다. [중앙포토]

사람 몸 속의 면역세포인 T세포. 주변 세포의 도움을 받아 암 세포를 살해한다. [중앙포토]

면역항암제의 대표 선수는 면역관문억제제와 CAR-T세포 치료제다. 면역이 과도하게 활성화됐을 때 브레이크를 걸어주는 것이 면역관문이다. 영리한 암은 면역관문을 자신을 위해 활용한다. 면역시스템에 브레이크를 걸어 공격을 피하는 것이다.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 시스템이 브레이크를 밟지 못하게 막아 면역항암반응을 강화하는 개념의 항암제다. 201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처음으로 면역관문억제제를 암 치료제로 승인했다. 지금은 여보이·옵디보·키트루다·리브타요·티쎈트릭·바벤시오·임핀지, 이렇게 7종의 면역관문억제제가 환자에게 처방되고 있다. 흑색종이나 비소세포폐암, 신장암, 방광암 등의 치료에 처방되고 있으며 처방할 수 있는 암종은 늘고 있다. 연구자인 제임스 앨리슨과 혼조 다스쿠 교수는 2018년 10월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면역관문억제제가 암 치료제 가운데 대세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면 CAR-T세포 치료제는 면역항암제로 암을 완치할 수 있다는 기대를 키우고 있다. CAR-T세포는 환자의 몸속에서 꺼낸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용해서 만든 것이다. 종양을 인지하는 부위와 T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부위 등 T세포가 암을 인지해 없애는 데 필요한 여러 수용체의 기능적 부위를 모아 인공적으로 합성한 수용체다. 이를 암 환자 자신의 T세포에 삽입한 다음 환자 몸 밖에서 대량으로 배양해 환자에게 다시 주입해 암을 치료한다.
 
그러나 면역관문억제제는 20% 내외의 환자에게서만 반응을 보였다. 대장암·위암·췌장암 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암종도 밝혀졌다. 단독투여로는 한계가 뚜렷했다. 현재는 면역항암제의 효능과 부작용을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마커와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끌어올리려는 병용투여법 개발 열기가 뜨겁다. 환자 맞춤형 면역항암 치료가 가능하게 될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된다.